K-패스(Kpass)카드 신청 발급 방법 및 혜택 정리

K-패스(Kpass) 카드 신청 발급 방법 및 혜택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서 설명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가 이번에 케이패스로 새롭게 바뀌게 되었습니다. 기존 카드를 사용할 때 불편했던 점들이 개선되고 혜택을 늘려서 출시되었으니 평소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자세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K-패스(Kpass)카드 신청 발급 방법 및 혜택 정리 섬네일

 

K-패스(Kpass) 카드는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으로 월 15회 이상 이용하시는 경우 교통요금에서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로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시던 분들도 전환하여 K-패스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함께 볼만한 콘텐츠

 

* 월 6만 5천원에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이 가능한 카드
* 착한 운전 마일리지 신청 빛 조회 방법


K-패스 발급 신청

 

 

 

K-패스 카드 신청 방법

K-패스(케이패스)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서 발급 및 신청이 가능하며 그 외에도 케이패스 모바일 앱이나 Kpass를 지원하는 11개의 카드사에서 교통카드 상품을 통해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최대 60회 이하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실 경우 지출한 이용금액의 일부를 적립이나 환급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에서 전환되는 것으로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시는 분들의 경우 24년 4월 30일까지 홈페이지(https://alcard.kr/)에서 간단하게 전환 신청이 가능하며, 이후에는 새롭게 신규 가입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

 

 

다만 이전 알뜰교통카드에서 사용하던 이용내역이나 적립금 내역은 K-패스 카드로 전환 시 이관되지 않으니 이점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K-패스 환급 및 적립 기준 비율 혜택

K-패스 K-패스 적립률 1,500원 기준 적립금액 K-패스 월 최대 환급/적립액 (60회 기준)
일반 20% 300월 18,000원
청년 30% 450원 27,000원
저소득 53% 800원 48,000원
  • 청년층 기준 : 만 19세 ~ 34세인 경우
  • 저소득층 기준 :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차 및 차상위계층인 경우

 

K-패스의 경우 계층에 따라서 환급 및 적립률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일반인의 경우 20%, 청년인 경우 30%, 저소득층인 경우 53%까지 환급 및 적립률이 적용됩니다. 일반인 적립률을 기준으로 보면 최대 연 21만 원가량을 환급받을 수 있으며 케이패스 교통카드 추가 할인 10%까지 고려한다면 큰 폭으로 교통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K-패스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및 지역

구분 K-패스
이용지역 전국
이용수단 1) 전철(신분당선 포함)
2) 시내버스
3) 마을버스
4) 농어촌버스
5) 광역버스
6) GTX

 

케이패스의 경우 전국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전철이나 일반 버스뿐만 아니라 광역버스나 GTX까지 포함되어 이용이 가능합니다. 장거리 출퇴근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자세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K-패스 알뜰교통카드 차이점

 

기존 알뜰 교통카드와 K-패스의 차이점을 궁금해하시는 분들도 있으실겁니다. 알뜰교통카드의 경우 이동거리를 기준으로 환급이 되므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마다 출발과 도착을 기록해야 한다는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반면 K-패스의 경우에는 별도의 기록을 체크할 필요 없이 월 지출 금액에 따라서 환급이 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K-패스 기후동행카드 차이점

이번에는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르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두 가지는 큰 차이점이 있는데 바로 지역적인 측면입니다. 현재 K-패스의 경우 전국 단위로 이용이 가능하지만 기후동행카드의 경우 서울 지역에 한정해서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두 번째는 이용 횟수에 있습니다. 케이패스의 경우 월 15회 ~ 60회라는 횟수가 정해져 있지만 기후동행카드의 경우 월 65,000원에 무제한으로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러분들이 평소 대중교통을 어떻게 이용하시는지에 따라서 골라서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콘텐츠 정리

 

이번 콘텐츠에서는 K-패스(Kpass) 카드 신청 및 발급 방법과 적립 환급에 대한 비율 그리고 기존 알뜰교통카드와 기후동행카드와는 어떻게 다른지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을 드렸습니다. 아무래도 비슷한 혜택을 가진 다양한 카드들이 나오다 보니 고민이 많이 되실 텐데 여러분들 개인에 맞춰서 혜택을 잘 살펴보고 잘 맞는 카드를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청년월세특별지원 신청 방법 및 조건 지급일 총정리 2024

청년월세특별지원 신청 방법 및 조건과 지급일에 대한 총정리를 해보도록 하겠다. 이번 2024년도에도 무주택 청년들의 주거지원 사업이 진행된다. 다행히 올해도 지원이 되면서 청년들의 주거비

dacco.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